3/29 코스피/코스닥 증시
- 코스피시장 -
3/29 KOSPI 2,741.07(+0.42%) 러-우크라 협상 기대감(+), 유가 하락 속 인플레이션 우려 완화(+), 기관 순매수(+)
밤사이 뉴욕증시가 러시아-우크라이나 협상 기대감, 유가 하락 등에 상승했고, 유럽 주요국 증시도 대부분 상승. 이날 코스피지수는 2,745.62(+16.06P, +0.59%)로 상승 출발. 장초반 상승폭을 키워 2,754.18(+24.62P, +0.90%)에서 장중 고점을 형성한 지수는 점차 상승폭을 축소하는 모습. 오전 중 2,740선을 중심으로 등락을 거듭했고, 오후 들어 2,733.22(+3.66P, +0.13%)까지 밀려나며 장중 저점을 형성. 이후 상승폭을 다소 확대한 지수는 결국 2,740선을 회복하며 2,741.07(+11.51P, +0.42%)로 장을 마감.
러시아-우크라이나간 평화 협상 기대감이 커진 데다 유가 하락 속 인플레이션 우려가 일부 완화되며 나스닥지수를 비롯해 美 3대 지수가 상승한 점이 국내 증시에도 호재로 작용. 기관은 이틀 연속 순매수하며 지수 상승을 이끌었음. 다만, 中 상하이 봉쇄 우려 등에 중국 증시가 하락세를 보인 가운데, 외국인과 개인이 동반 순매도하며 상승폭은 다소 제한된 모습.
29일(현지시간)로 예정된 러시아와 우크라이나간 5차 회담을 앞두고 러시아가 더 이상 휴전 협상에서 우크라이나의 탈나치화를 요구하지 않을 것이란 소식이 전해지며 협상 진전에 대한 기대감이 커지는 모습. 주요 외신에 따르면, 양국은 우크라이나가 나토 가입을 포기하는 대신 유럽연합(EU)에 가입하는 방향으로 러시아와 휴전 협상을 진행하고 있는 것으로 전해지고 있으며, 휴전 문서 초안에는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의 주요 명분이었던 '비무장화'와 '탈나치화', 러시아가 협상 과정에서 요구해왔던 우크라이나 내 러시아어 사용을 위한 법적인 보장 등은 포함되지 않은 것으로 전해짐.
최근 급등세를 보이던 국제 유가가 급락세를 보이면서 인플레이션 우려가 일부 완화되는 모습. 밤사이 미국 뉴욕상업거래소(NYMEX)에서 서부 텍사스산 원유(WTI) 5월 인도분 가격은 전거래일보다 7.94달러(-6.97%) 급락한 105.96달러에 거래 마감. 中 상하이 봉쇄에 따른 원유 수요 감소 전망 및 러시아-우크라이나 협상 기대감 등이 국제 유가 하락 요인으로 작용.
한편, 이날 오전 0시 기준 국내 신규 코로나19 확진자 수는 34만7,554명(국내 34만7,513명, 해외유입 41명)을 기록. 위중증 환자는 1,215명, 사망자는 237명을 기록.
아시아 주요국 증시는 중국이 하락한 반면, 일본, 대만, 홍콩은 상승하는 등 대부분 상승.
수급별로는 기관이 3,271억 순매수, 외국인과 개인은 각각 2,832억, 83억 순매도. 선물시장에서는 개인과 기관이 각각 2,202계약, 509계약 순매수, 외국인은 1,837계약 순매도.
이날 원/달러 환율은 전거래일 대비 7.5원 하락한 1,219.8원을 기록.
국고채 3년물 금리는 전거래일 대비 4.7bp 하락한 2.700%, 10년물은 전거래일 대비 5.9bp 하락한 2.972%를 기록.
코스피 시총상위종목들은 상승 종목이 우세. 삼성SDI(+1.69%), SK하이닉스(+1.69%), 셀트리온(+1.49%), 삼성물산(+1.35%), 현대차(+1.15%), LG에너지솔루션(+1.03%), 현대모비스(+0.95%), NAVER(+0.75%), 삼성전자(+0.72%), 삼성바이오로직스(+0.61%), 기아(+0.56%), 신한지주(+0.49%), 카카오(+0.48%) 등이 상승. 반면, KB금융(-0.98%), 카카오뱅크(-0.50%), SK이노베이션(-0.24%), POSCO홀딩스(-0.17%) 등은 하락. LG화학, LG전자는 보합.
업종별로도 상승 업종이 다소 우세. 비금속광물(+2.36%), 전기전자(+0.82%), 제조업(+0.55%), 화학(+0.53%), 운수창고(+0.50%), 서비스업(+0.50%), 유통업(+0.49%), 의약품(+0.47%), 증권(+0.36%), 금융업(+0.33%) 등이 상승. 반면, 전기가스업(-2.74%), 건설업(-2.70%), 기계(-2.03%), 섬유의복(-0.74%), 통신업(-0.39%), 보험(-0.31%), 은행(-0.25%), 철강금속(-0.21%) 업종 등은 하락.
마감 지수 : KOSPI 2,741.07P(+11.51P/+0.42%)
- 코스닥 시장 -
3/29 KOSDAQ 937.83(+1.16%) 러-우크라 협상 기대감(+), 유가 급락(+), 외국인/기관 순매수(+)
밤사이 뉴욕증시가 러-우크라 협상 기대감 및 유가 하락 등에 상승한 가운데, 이날 코스닥지수는 932.86(+5.75P, +0.62%)으로 상승 출발. 장초반 930.34(+3.23P, +0.35%)에서 저점을 형성한 지수는 점차 상승폭을 키우는 모습. 935선 부근에서 상승세를 이어가던 지수는 장 후반 상승폭을 더욱 키워 결국 장중 고점인 937.83(+10.72P, +1.16%)으로 장을 마감.
러시아-우크라이나 협상 기대감, 국제 유가 급락 속 인플레이션 우려 완화 등에 나스닥지수가 큰 폭으로 상승한 점이 투자 심리를 개선시키는 모습. 외국인과 기관은 동반 순매수하며 지수 상승을 이끌었음. 특히, 밤사이 테슬라가 급등세를 보이면서 시총 상위 2차전지 관련주들의 강세가 두드러짐.
수급별로는 외국인과 기관이 각각 1,528억, 845억 순매수, 개인은 2,027억 순매도.
코스닥 시총상위 10위권 종목들은 일제히 상승. 천보(+6.01%), 엘앤에프(+5.05%), 에코프로비엠(+2.40%) 등 2차전지 관련주들이 강세를 나타냈고, 카카오게임즈(+4.84%), 셀트리온헬스케어(+1.87%), 셀트리온제약(+1.44%), HLB(+0.84%), 펄어비스(+0.50%), 위메이드(+0.40%), CJ ENM(+0.31%) 등이 상승.
업종별로도 대부분 업종이 상승. 제약(+2.52%), 종이/목재(+2.03%) 업종의 강세가 두드러졌으며, 비금속(+1.88%), 일반전기전자(+1.82%), 인터넷(+1.79%), IT 부품(+1.58%), 화학(+1.53%), 컴퓨터서비스(+1.50%), 소프트웨어(+1.44%), 음식료/담배(+1.43%), 통신장비(+1.43%), IT S/W & SVC(+1.42%), 기타서비스(+1.40%), 유통(+1.36%), 디지털컨텐츠(+1.36%), 제조(+1.28%) 업종 등이 큰 폭 상승. 반면, 건설(-1.24%), 금속(-1.23%), 운송(-0.76%), 기타 제조(-0.22%) 등 일부 업종은 하락.
마감 지수 : KOSDAQ 937.83P(+10.72P/+1.16%)
'주식 투자 정보 > 국내증시·테마주 요약 정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3/31 테마주 요약 정리 (0) | 2022.03.31 |
---|---|
3/30 코스피/코스닥 증시 (0) | 2022.03.30 |
3/30 테마주 요약 정리 (0) | 2022.03.30 |
3/29 테마주 요약 정리 (0) | 2022.03.29 |
3/28 코스피/코스닥 증시 (0) | 2022.03.29 |
댓글